CS 판두리 트르구지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S 판두리 트르구지우는 1962년 창단된 루마니아의 축구 클럽이다. 2005-06 시즌 루마니아 1부 리그로 승격했으며, 2012-13 시즌에는 리그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3-14 시즌에는 UEFA 유로파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했으나, 재정 문제로 2016-17 시즌 후 강등되었다. 이후 리그 2, 리그 3를 거쳐 현재는 하위 리그에 속해 있으며, 2019년 투도르 블라디미레스쿠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2년 설립된 축구단 - FK RFS
FK RFS는 라트비아 리가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2016년 비르스리가에 승격 후 라트비아 컵 우승과 비르스리가 우승을 차지하며 라트비아 축구의 강호로 부상했고,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와 유로파리그 조별리그에 진출하며 유럽 무대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 1962년 설립된 축구단 - FK 아틀란타스
FK 아틀란타스는 리투아니아 클라이페다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1962년 창단 후 1996년 재창단되었으며, 클라이페다 중앙 경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며, 리투아니아 SSR 축구 선수권 대회 4회 우승과 리투아니아 컵 6회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2019년 승부 조작 혐의로 A 리가에서 제명된 바 있다.
CS 판두리 트르구지우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클럽 스포르티브 판두리 리그니툴 트르구지우 |
별칭 | Alb-albaștrii (하얀색과 파란색) Minerii (광부) Gorjenii (고르 현 사람들) |
약칭 | 판두리 |
창단 | 1962년 2월 1일 |
해체 | 2022년 10월 20일 |
경기장 | 투도르 블라디미레스쿠 |
수용 인원 | 12,518명 |
웹사이트 | 판두리 트르구지우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정보 | |
소유주 | 알 수 없음 |
회장 | 알 수 없음 |
감독 | 알 수 없음 |
이전 시즌 | |
리그 | 알 수 없음 |
시즌 | 2022–23 |
순위 | 리가 IV, 고르 현, 13위 (기권) |
유니폼 | |
홈 | 패턴_la1: _pandurii2021h 패턴_b1: _pandurii2021h 패턴_ra1: _pandurii2021h 패턴_sh1: _pandurii2021h 왼쪽_팔1: 알 수 없음 몸통1: 알 수 없음 오른쪽_팔1: 알 수 없음 반바지1: 알 수 없음 양말1: FFFFFF |
원정 | 패턴_la2: _pandurii2021a 패턴_b2: _pandurii2021a 패턴_ra2: _pandurii2021a 패턴_sh2: _pandurii2021a 왼쪽_팔2: 알 수 없음 몸통2: 알 수 없음 오른쪽_팔2: 알 수 없음 반바지2: 알 수 없음 양말2: 023ff9 |
2. 역사
CS 판두리 트르구지우는 1962년 8월 창단되어 루마니아 축구 리그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4부 리그에서 시작해 3부 리그로 빠르게 승격하는 등 뚜렷한 성과를 보였다. 1976-77 시즌 2부 리그로 승격했지만 곧바로 강등되는 등 부침을 겪은 후, 2부 리그와 3부 리그를 오가며 꾸준히 활동했다.
2005년, 에밀 선도이 감독 지휘 아래 젊은 선수들과 경험 많은 선수들의 조화로 리가 I 승격을 이루었다.[2] 첫 시즌은 어려웠지만, 루마니아 축구 연맹의 결정으로 잔류에 성공했다.[2] 이후 팀을 강화하여 중위권을 유지하며 경쟁력을 높였다.
2010년 강등 위기를 맞았으나, 인터나치오날 쿠르테아 데 아르제슈 해체로 잔류 기회를 얻고,[2] 해당 팀 출신 선수들을 영입하여 전력을 보강했다. 2011-12 시즌 역대 최고 순위인 7위를 기록했고, 2012-13 시즌 준우승을 차지하며 구단 역사상 최초로 2013-14 UEFA 유로파 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3] FC 레바디아 탈린, 하포엘 텔아비브, 브라가를 꺾고 조별 리그에 진출했으나, E조 최하위에 머물렀다.[3]
2015년 리가 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FC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에 패해 준우승했고,[2] 2015-16 시즌 리그 3위로 다시 UEFA 유로파 리그에 진출했다.[2]
그러나 2016-17 시즌, 주 스폰서 지원 중단으로 재정난을 겪으며 많은 선수들이 팀을 떠났고, 결국 12시즌 만에 리가 II로 강등되었다.[1] 이후 2군과 유소년 팀 선수 중심으로 팀을 재편했고, 2020-21 시즌에는 리가 III로 강등되었다.[1]
2. 1. 창단과 초기 (1962-2005)
판두리 트르구지우는 1962년 8월, 도시의 두 라이벌 팀인 '플래커라-우니레아 트르구지우'와 'CIL 트르구지우'의 합병으로 창단되었다. 구단은 루마니아 축구의 4부 리그에 참가하여 3부 리그로 즉시 승격하는 강력한 목표를 세웠다. 그리고 목표는 달성되어 판두리는 1963년 6월에 디비지아 C로 승격했다. 이 리그에서의 첫 경기는 1963년 9월 1일에 시데룰기스툴 후네도아라를 상대로 치러졌으며, 판두리는 치투(12분), 넬루 벌로이(35분), 멜린테(53분, 80분) 그리고 바실레스쿠(83분, 85분)의 골로 6-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초창기에 판두리는 순위표 상위권에 꾸준히 이름을 올렸고, 구단은 디비지아 B로의 승격을 노렸다. 1976-77 시즌에 젊은 선수들과 티투스 오존 감독과 함께 꿈이 이루어졌다. 판두리는 경쟁을 지배했고, 초반부터 순위표 최상위에 올라 2부 리그로 승격했다. 그러나 이 수준은 판두리에게 너무 버거웠고, 다음 시즌에 디비지아 C로 강등되었다.
그 이후 몇 년 동안 팀은 2부 리그와 3부 리그를 오가며 자주 변화했다. 1979년부터 1983년까지, 그리고 1986년부터 1991년까지 디비지아 B에서 활동했다. 디비지아 C에서 10년을 보낸 후, 2000년에 다시 2부 리그로 승격했고, 2004년에는 스포르툴 스투덴체스크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2. 2. 리가 I 승격과 전성기 (2005-2017)
에밀 선도이 감독과 티베리우 룽, 소린 빈틸레스쿠 같은 젊은 선수들, 플로린 포페테, 로베르트 반체아, 로물루스 부이아와 같은 경험 많은 선수들로 구성된 팀은 디비지아 A 승격을 달성했다.[2]디비지아 A에서의 첫 시즌은 어려웠고, 2005-06 시즌을 강등권 바로 아래인 15위로 마쳤다. 하지만 루마니아 축구 연맹이 스포르툴 스투덴테스크에게 다음 시즌 라이선스를 부여하지 않아 판두리가 잔류하게 되었다.[2] 위기를 모면한 구단은 팀을 강화하여 알렉산드루 퍼큐라, 치프리안 바실라케, 리비우 미하이를 영입했고, 2006-07 시즌에는 11위를 기록했다. 그들은 다음 시즌에도 중위권을 유지했다.[2]
2010년에는 강등권 아래로 시즌을 마쳤지만, 구단을 해체하기로 결정한 인터나치오날 쿠르테아 데 아르제슈 덕분에 강등을 면했다. 블라드 키리케슈, 미하이 핀틸리, 단 니스토르 등 인터나치오날 쿠르테아 데 아르제슈 출신 선수들을 영입한 판두리는 다음 시즌에 13위를 기록했다.[2]
2011-12 시즌에는 역사상 최고 순위인 7위를 기록했다. 다음 시즌에는 리가 I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구단 역사상 최초로 2013-14 UEFA 유로파 리그에 진출했다. FC 레바디아 탈린, 하포엘 텔아비브와 브라가를 꺾고 조별 리그에 진출하여 FC 파수스 드 페레이라, FC 드니프로, ACF 피오렌티나와 함께 E조에 편성되었다.[3]
2015년 3월 10일, 에두아르드 이오르다네스쿠 감독 아래 판두리는 리가 컵 준결승에서 FC 디나모 부쿠레슈티를 꺾고 구단 역사상 최초의 컵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FC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에게 패했다.[2]
2015-16 시즌 리가 I에서 판두리는 UEFA 유로파 리그 우승자 크리스티안 서푸나루, 단 니스터, 이오안 호라, 미하이 래두츠 등과 나르시스 래두칸 회장 아래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2016년 2월 6일, ASA 2013 Târgu Mureș를 상대로 승리하여 유럽 대회 진출권을 확보했다. 시즌 말, 판두리는 3위를 차지하며 두 번째로 UEFA 유로파 리그 진출 자격을 얻었다.[2]
2. 3. 몰락과 현재 (2017-현재)
팀은 2016-17 시즌에 루치안 슨마르테안이나 게오르게 츠쿠디안과 같은 선수들이 클럽에 합류하여 비교적 좋은 출발을 보였고, 여름에 마카비 텔아비브 FC와의 유로파 리그 경기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였지만, 시즌 후반에 문제가 발생했다. 메인 스폰서에게 문제가 생기면서 더 이상 팀에 자금을 지원하지 못하게 되었다. 많은 선수들이 팀을 떠났고, 그래서 2군에서 젊은 선수들과 다른 곳에서 온 선수들이 1군으로 올라왔다. 불행히도 판두리는 2005년 승격 이후 처음으로 리가 1에서 12시즌 만에 강등되었지만 마지막 라운드까지 강등을 피하기 위해 싸웠다.[1]2017-18 리가 II를 위해 판두리는 2군이나 유소년 팀에서 승격된 선수들과 함께 준비했고, 2019년 새 경기장이 완공될 때까지 모트루로 이동했다.[1]
2020-21 리가 II 시즌이 끝나고 판두리는 21년 만에 처음으로 리가 III로 강등되었다.[1]
3. 경기장
클럽은 2019년에 개장한 투도르 블라디미레스쿠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른다.
4. 역대 성적
CS 판두리 트르구지우는 루마니아 리그와 유럽 대회에서 다음과 같은 성적을 거두었다.
수상 내역 | 시즌 | |
---|---|---|
리가 I | 준우승 | 2012–13 |
3위 | 2015–16 | |
리가 II | 우승 | 2004–05 |
준우승 | 2003–04 | |
리가 III | 우승 | 1976–77, 1978–79, 1985–86, 1999–2000 |
준우승 | 1975–76, 1983–84 | |
리가 IV – 고르지 주 | 우승 | 1962–63 |
쿠파 리기에이 | 준우승 | 2014–15 |
수상 내역 | 시즌 | |
---|---|---|
루마니아 컵 U17 | 우승 | 2015–16 |
루마니아 슈퍼컵 U17 | 준우승 | 2016 |
- 리가 I 역대 순위에서 98개 팀 중 '''30'''위
- 쿠파 루므니에이 최고 성적: 준결승 (2006–07)
- 고르지 주에서 가장 성공적인 팀
- UEFA 유로파리그 시즌: '''2'''
- UEFA 유로파리그 최고 성적: 조별 리그 (2013-14)
- UEFA 유로파리그 최고 승리: '''4–0''' vs. 레바디아 탈린 (2013-14)
시즌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999-2000 | 리가 3 | 1위 | ||||||||
2000-01 | 리가 2・세리아 2 | 6위 | 30 | 13 | 6 | 11 | 36 | 32 | +4 | 45 |
2001-02 | 9위 | 30 | 10 | 11 | 9 | 21 | 27 | -6 | 41 | |
2002-03 | 12위 | 28 | 7 | 7 | 14 | 23 | 37 | −14 | 28 | |
2003-04 | 2위 | 30 | 20 | 5 | 5 | 51 | 22 | +29 | 65 | |
2004-05 | 1위 | 30 | 19 | 8 | 3 | 51 | 17 | +34 | 65 | |
2005-06 | 디비지아 A | 15위 | 30 | 6 | 7 | 17 | 22 | 44 | −22 | 25 |
2006-07 | 리가 1 | 11위 | 34 | 13 | 5 | 16 | 26 | 35 | −9 | 44 |
2007-08 | 12위 | 34 | 11 | 7 | 16 | 36 | 43 | −7 | 40 | |
2008-09 | 11위 | 34 | 11 | 10 | 13 | 27 | 36 | −9 | 43 | |
2009-10 | 15위 | 34 | 7 | 13 | 14 | 19 | 30 | −11 | 34 | |
2010-11 | 13위 | 34 | 9 | 10 | 15 | 36 | 46 | −10 | 37 | |
2011-12 | 7위 | 34 | 12 | 11 | 11 | 47 | 40 | +7 | 47 | |
2012-13 | 2위 | 34 | 19 | 6 | 9 | 57 | 43 | +14 | 63 | |
2013-14 | 7위 | 34 | 14 | 8 | 12 | 59 | 39 | +20 | 50 | |
2014-15 | 9위 | 34 | 12 | 9 | 13 | 47 | 42 | +5 | 45 | |
2015-16 | 3위 | 26 | 13 | 8 | 5 | 35 | 26 | +9 | 47 | |
2016-17 | 13위 | 26 | 6 | 7 | 13 | 24 | 42 | −18 | 19 | |
2017-18 | 리가 2 | 14위 | 38 | 9 | 15 | 14 | 49 | 57 | −8 | 42 |
2018-19 | 15위 | 38 | 12 | 8 | 18 | 57 | 65 | −8 | 44 | |
2019-20 | 19위 | 23 | 1 | 5 | 17 | 10 | 53 | −43 | 8 | |
2020-21 |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팀 | 홈 | 원정 | 합계 |
---|---|---|---|---|---|---|
2013-14 | UEFA 유로파리그 | 2차 예선 | 레바디아 탈린 | 4–0 | 0–0 | 4–0 |
3차 예선 | 하포엘 텔아비브 | 1–1 | 2–1 | 3–2 | ||
PO | 브라가 | 0–1 | 2–0 (연장전) | 2–1 | ||
E조 | 피오렌티나 | 1–2 | 0–3 | 4위 | ||
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 0–1 | 1–4 | ||||
파수스 드 페헤이라 | 0–0 | 1–1 | ||||
2016-17 | UEFA 유로파리그 | 3차 예선 | 마카비 텔아비브 | 1–3 | 1–2 | 2–5 |
대회 | 시즌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UEFA 유로파 리그 | 2 | 14 | 3 | 4 | 7 | 14 | 19 | −5 |
합계 | 2 | 14 | 3 | 4 | 7 | 14 | 19 | −5 |
4. 1. 국내 대회
CS 판두리 트르구지우는 국내 대회에서 다음과 같은 성적을 거두었다.수상 내역 | 시즌 | |
---|---|---|
리가 I | 준우승 | 2012–13 |
3위 | 2015–16 | |
리가 II | 우승 | 2004–05 |
준우승 | 2003–04 | |
리가 III | 우승 | 1976–77, 1978–79, 1985–86, 1999–2000 |
준우승 | 1975–76, 1983–84 | |
리가 IV – 고르지 주 | 우승 | 1962–63 |
쿠파 리기에이 | 준우승 | 2014–15 |
수상 내역 | 시즌 | |
---|---|---|
루마니아 컵 U17 | 우승 | 2015–16 |
루마니아 슈퍼컵 U17 | 준우승 | 2016 |
- 리가 I 최장 무패 행진: '''10''' 경기 (2015–16)
- 쿠파 루므니에이 최고 성적: 준결승 (2006–07)
2015년 3월 10일, 에두아르드 이오르다네스쿠 감독 아래 판두리는 리가 컵 준결승에서 FC 디나모 부쿠레슈티를 꺾고 구단 역사상 최초의 컵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FC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에게 패배했다.
시즌 | 티어 | 디비전 | 순위 | 루마니아 컵 |
---|---|---|---|---|
2021–22 | 3 | 리가 III (Seria VII) | 4위 (강등) | |
2020–21 | 2 | 리가 II | 19위 (강등) | 3라운드 |
2019–20 | 2 | 리가 II | 19위 | 3라운드 |
2018–19 | 2 | 리가 II | 15위 | 4라운드 |
2017–18 | 2 | 리가 II | 14위 | 4라운드 |
2016–17 | 1 | 리가 I | 13위 (강등) | 16강 |
2015–16 | 1 | 리가 I | 3위 | 16강 |
2014–15 | 1 | 리가 I | 9위 | 8강 |
2013–14 | 1 | 리가 I | 7위 | 8강 |
2012–13 | 1 | 리가 I | 2위 | 16강 |
2011–12 | 1 | 리가 I | 7위 | 8강 |
2010–11 | 1 | 리가 I | 13위 | 16강 |
2009–10 | 1 | 리가 I | 15위 | 32강 |
2008–09 | 1 | 리가 I | 11위 | 8강 |
2007–08 | 1 | 리가 I | 12위 | 8강 |
2006–07 | 1 | 리가 I | 11위 | 준결승 |
2005–06 | 1 | 디비지아 A | 15위 | 16강 |
2004–05 | 2 | 디비지아 B (Seria II) | 1위 (C, 승격) | 32강 |
2003–04 | 2 | 디비지아 B (Seria II) | 2위 | 32강 |
2002–03 | 2 | 디비지아 B (Seria II) | 12위 | |
2001–02 | 2 | 디비지아 B (Seria II) | 9위 | |
2000–01 | 2 | 디비지아 B (Seria II) | 6위 | 32강 |
1999–00 | 3 | 디비지아 C | 1위 (C, 승격) | 32강 |
1998–99 | 3 | 디비지아 C | 5위 | |
1991–92 | 3 | 디비지아 C | 11위 (강등) | |
1990–91 | 2 | 디비지아 B (Seria II) | 16위 (강등) | |
1989–90 | 2 | 디비지아 B (Seria II) | 14위 |
4. 2. 유럽 대회
2012-13 리가 I에서 판두리는 리가 I 준우승을 차지하며, 구단 역사상 최초로 2013-14 UEFA 유로파 리그에 진출했다.[3] 레바디아 탈린, 하포엘 텔아비브와 브라가를 꺾고 조별 리그에 진출하여 FC 파수스 드 페레이라, FC 드니프로, ACF 피오렌티나와 함께 E조에 편성되었다.[3]2015-16 시즌 리가 I에서 판두리는 UEFA 유로파 리그 우승자 크리스티안 서푸나루, 단 니스터, 이오안 호라, 미하이 래두츠 등 같은 감독과 선수들을 기용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었으며, 나르시스 래두칸이 회장으로 있었다. 시즌 말, 판두리는 3위를 차지하며 두 번째로 UEFA 유로파 리그 진출 자격을 얻었지만, 이번에는 3차 예선이었다.
- UEFA 유로파리그 시즌: '''2'''
- UEFA 유로파리그 최고 성적: 조별 리그 (2013-14)
- UEFA 유로파리그 최고 승리: '''4–0''' vs. 레바디아 탈린 (2013-14)
;비고
- '''1차 예선''': 1차 예선
- '''2차 예선''': 2차 예선
- '''3차 예선''': 3차 예선
- '''PO''': 플레이오프 라운드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팀 | 홈 | 원정 | 합계 |
---|---|---|---|---|---|---|
2013-14 | UEFA 유로파리그 | 2차 예선 | 레바디아 탈린 | 4–0 | 0–0 | 4–0 |
3차 예선 | 하포엘 텔아비브 | 1–1 | 2–1 | 3–2 | ||
PO | 브라가 | 0–1 | 2–0 (연장전) | 2–1 | ||
E조 | 피오렌티나 | 1–2 | 0–3 | 4위 | ||
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 0–1 | 1–4 | ||||
파수스 드 페헤이라 | 0–0 | 1–1 | ||||
2016-17 | UEFA 유로파리그 | 3차 예선 | 마카비 텔아비브 | 1–3 | 1–2 | 2–5 |
대회 | 시즌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UEFA 유로파 리그 | 2 | 14 | 3 | 4 | 7 | 14 | 19 | −5 |
합계 | 2 | 14 | 3 | 4 | 7 | 14 | 19 | −5 |
5. 선수
CS 판두리 트르구지우에서 활동한 선수 중 각 국가의 유소년 및/또는 성인 대표팀에서 국제 경기에 출전했거나, CS 판두리 트르구지우에서 100경기 이상 출전한 선수들의 목록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역대 주요 선수
CS 판두리 트르구지우에서 주요 선수로 활동했던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이 선수들은 각 국가의 유소년 및 성인 대표팀에서 국제 경기에 출전했거나, CS 판두리 트르구지우에서 100경기 이상 출전한 경력이 있다.; 루마니아
- 파울 안톤
- 알린 치불쿠테안
- 블라드 키리케슈
- 리비우 치오보타리우
- 콘스탄틴 그레쿠
- 오비디우 헤레아
- 이오안 호라
- 알렉산드루 막심
- 단 니스토르
- 다니엘 오라크
- 미하이 핀틸리
- 빅토르 피투르커
- 마리안 플레아슈커
- 플로린 포페테
- 미하이 러두츠
- 아드리안 로포탄
- 아드리안 루수
- 루치안 슴마르테안
- 크리스티안 서푸나루
- 러즈반 스탄카
- 이울리안 슈테판
- 게오르게 추쿠데안
- 보그단 웅구루산
- 로베르트 반체아
- 클라우디우 보이쿨레츠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아드난 구쇼
- 스토얀 브라네슈
; 브라질
- 카르도주
; 콩고
- 아르멜 디즈니
; 키프로스
- 파라스케바스 크리스투
; 체코
- 루카시 드로파
; 코트디부아르
- 콩스탕 디아크파
- 우스만 비에라
; 리투아니아
- 데이비다스 마툴레비치우스
; 나이지리아
- 크리스티안 오보도
; 포르투갈
- 페드루 밍고테
- 바스쿠 페르난데스
; 슬로베니아
- 야카 슈트로마예르
참조
[1]
뉴스
De 50 de ani "Panduri"! Gorjenii sărbătoresc jumătate de secol prin lansarea unei sigle aniversare
http://www.prosport.[...]
ProSport
2012-10-16
[2]
웹사이트
Evolutia denumirilor echipelor de-a lungul anilor
http://www.romanians[...]
2018-12-05
[3]
뉴스
Former winners learn group stage fates
http://www.uefa.com/[...]
UEFA
2013-08-30
[4]
웹사이트
UEFA Team Ranking 2018
https://www.uefa.com[...]
2018-11-01
[5]
웹사이트
UEL、多くの強豪がプレーオフで敗退
http://jp.uefa.com/u[...]
UEFA.com
2013-08-30
[6]
웹사이트
UEFAヨーロッパリーグ - パンドゥリの紹介ページ
http://jp.uefa.com/u[...]
UEFA.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